상단영역

  • Home
  • Login
  • Join
  • Sitemap

경주토종견

동경이

동경이

본문시작

경주개동경이혈통고정화|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토종개! 천연기념물 504호 경주개 동경이

홈 - 한국 경주개 동경이 보존협회 - 경주개 동경이 혈통고정화

경주개 동경이, 천연기념물 540호로 부활

경주개 동경이는 우리나라 토종개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외관적으로 꼬리가 없거나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고, 5-6세기 신라 고분군에서 출토되는 동경이 토우 유물 등에 의해 신라시대 이전부터 사육된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 천년의 왕도 경주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던 민족적 특성을 가진 보존 가치가 있는 토종개였으나, 오늘날에는 타 견종과 혈통상의 교잡화로 인하여 멸종의 위기에 처해 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최석규교수 연구팀과 경주시와 사) 한국경주개동경이보존협회에 의하여 동경이 혈통보전 작업이 시작되었다. 경주시 축산과에서는 2006년 3월부터 경주지역의 꼬리 짧은 개들을 대상으로 사료비를 지원하였으며, 최석규교수 연구팀(성기창,이은우,박순태)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형태학, 해부학, 유전학적으로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를 하여 2008년 2월에 경주개 동경이의 외형과 유전형질의 1차적인 특성을 일부 확인하고 품종 표준화 작업 및 계통번식을 실시하였다. 2008년 6월에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발된 동경이를 경주 시민들에게 공개하였다. 그리고 과학적 검증기법 등에 의해 혈통 고정된 동경이의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확보되고 있다. 2012년 11월 6일 국가 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540호로 지정되었다.

유전형질 분석으로 경주개 동경이는 한국토종개

  • 경주개 동경이와 토종개(진도,삽살,풍산,불개)의 유연관계 계통수(Phylogenetic tree showing the genetic relationship)를 작성한 결과 동경이는 안정된 유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음,
  • 표준유전거리(Standard genetic distance)와 최소유전적거리(Minimum genetic distance)를 각각 UPGMA방법으로는 확인한 결과 경주개 동경이는 한국 토종개 그룹에 속하며, 진도개와 가장 가까운 유전거리를 가지고 있다.
  • 진도개와 가장 가까운 유전적 근연관계를 이루고 있지만 진도개와는 1000번의 확률통계에서 bootstrap value 100으로 전혀 다른 견종임을 알 수 있다.

동경이와 토종개의 유연관계

방사선 촬영으로 본 경주개 동경이

방사선 촬영하여 관찰한 경주개 동경이는 미추의 마디가 단미견은 5-9마디 무미견은 4마디 이하입니다.

무미견(4마디 이하), 단미견(5-9마디)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audal vertebrae in Gyeongju Donggyeong dog.
주(註). 표식:가늘어진 미추 끝부분.